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6

고정금리 변동금리 무엇이 더 좋을까?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금리가 상승되고 있다 보니 대출금리도 치솟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대부분 우리나라의 전세자금 대출의 94%가 변동금리라고 하니 치솟는 금리에 따라 이자 상환의 부담이 가중되고있는 상황이다. 오늘은 금리 인상의 충격을 고스란히 받고있는 변동금리와 반대로 금리가 고정되어 현재 시점에선 조금이나마 유리한 고정금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여러 가지 종류의 금리 앞서 말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외에도 여러 가지 종류의 금리가 있다.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정해서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기준금리와 신용도가 낮은 기업이나 개인이 대출을 받을 때 최우대 프라임레이트에 가산금리를 붙이는 가산금리,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인 여신금리, 시중의 자금사정을 가장 잘 반영하는 금리인 실세금.. 2022. 10. 12.
1금융권 2금융권 차이와 은행 종류 요즘은 온라인으로만 거래할 수 있는 비대면 은행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그중 하나가 카카오 뱅크로 카카오 뱅크의 뒤를 이어 토스 뱅크, 케이 뱅크 등 많은 비대면 은행들이 생겼다.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주거래 은행은 카카오 뱅크로 처음엔 이 비대면 은행들이 1 금융권에 속하는지 전혀 몰랐다. 그래서 오늘은 1금융권과 2금융권의 차이는 무엇이고 이에 속하는 은행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금융 관련법의 차이 1금융권, 2금융권 뿐만 아니라 3금융권도 은행법이나 금융 관련법 적용 여부에 따라서 나뉜다고 보면 된다. 즉, 은행법을 적용받으면 1금융권이고, 1금융권에 속해있는 기관들은 보통 은행이라는 단어가 붙는다. 은행법을 적용받지는 않더라도 금융에 관련된 다른 법을 적용받으면서 금융당국의.. 2022. 10. 11.
다섯가지 절세 방법으로 세금 줄이기 세상에는 돈이 많은 사람이든 돈이 적은 사람이든 세금을 더 내고 싶어 하는 사람은 없다. 어찌 보면 세금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돈 벌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은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세금을 줄일 수 있을지에 대한 절세 방법 다섯 가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부양가족수 늘리기 사람으로 절세하는 방법이란 부양하는 가족의 수를 늘리면 세금을 줄일수 있다는 뜻이다. 내 가족은 당연히 해당되는 부양가족 소득공제는 내 부모님과 배우자의 부모님 그리고 양가 중 조부모님이 살아계신 경우에도 소득공제 대상자가 될 수도 있다. 부모님 같은 경우에는 주거 형편상 별거자이기 때문에 소득과 나이만 맞으면 대부분 공제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다만 부모님이 근로소득자이거나 사업자에 따라서 신고 소.. 2022. 10. 7.
우선주와 보통주 차이 ( 세종류의 현대자동차 ) 처음 주식시장에 발을 들이고 증권사 애플리케이션에서 제일 먼저 검색한 게 삼성전자였다. 그런데 종목에서 삼성전자, 삼성전자우 두 개가 뜨길래 당황했던 적이 있었다. 그런데 LG전자도 삼성전자와 마찬가지로 LG전자우가 함께 떴고, 현대건설도 현대건설우가 함께 뜨더라. 알고 보니 우선주와 보통주로 나뉘는 것이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두 가지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보통주와 우선주의 권리 기업 이름뒤에 아무것도 붙지 않으면 보통주라고 하고, '우'라는 단어가 붙어있으면 우선주라고 한다. 즉, LG전자는 보통주이고 LG전자우는 우선주라고 보면 된다. 보통주는 기업이 투자를 받아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발행한 것이고, 우선주는 기존 투자자의 의결권을 보호하면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발행한 것이다... 2022. 10. 6.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점 성인이 되고 경제뉴스를 조금씩 보면서 코스피와 코스닥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그리고 주식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시절에는 그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속해있는 똑같은 시장이라고 생각을 했었다. 분명 주식을 사고파는 방식은 똑같은데 굳이 왜 구분해서 부르는 건지 몰랐었던 적이 있었다. 분명 지금도 나와 같은 분들이 계실 거라고 생각해서 오늘은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우량주 시장 코스피 한국종합주가지수의 약자인 코스피(KOSPI)는 비교적 기업 자체의 규모가 크고 안정적인 종목들이 모여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기업으로 예를 들어보자면 삼성전자, 카카오처럼 이름만 들어도 아는 대기업들이 상장되어있는 유가증권 시장을 뜻한다. 즉, 코스피는 지.. 2022. 10. 5.
국민연금 수령나이 언제부터 받을수 있나? 재테크의 기본은 새는 돈을 먼저 잡아야 한다. 무엇보다 지출관리를 해야 한다는 뜻이다. 급여명세서를 보면 4대 보험 중에서도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 고용보험이 빠져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정작 얼마의 국민연금이 빠져나가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 나이와 더불어 정확하게 얼마나 빠져나가고 언제부터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국민연금은 급여의 4.5 퍼센트 원래는 월 소득의 9퍼센트가 국민연금으로 책정된다. 하지만 직장인 같은 경우에는 9퍼센트의 절반인 4.5퍼센트는 회사에서 부담하기 때문에 그의 절반인 4.5%가 빠져나간다고 볼수있다. 좀 더 정확하게 예를 들어보면 급여가 200만 원일 경우 약 9만 원 정도의 국민연금이 월급에서 빠져나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현.. 2022.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