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정보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및 사용처

by 이사사카 2024. 4. 19.

올해 19세가 되는 2005년생 대한민국 청년들에게 공연과 전시를 예매할 때 최대 15만 원을 지원하는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발급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예신가요? 올해 처음 시행하는 데다 선착순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참고하셔서 지금 바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청년-문화-예술-패스-신청하기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은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선착순으로 발급하기 때문에 빠르게 신청을하는것이 중요한데요~ 소득과 관계없이 국내에 거주하는 2005년생 대한민국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 지역별로 발급상황에 따라서 조기에 마감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글을 보고 있는 즉시 위의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하기로 들어가서 신청먼저 하고 오시기 바랍니다.

 

 

 

청년-문화-예술-패스-신청방법-썸네일청년-문화-예술-패스-신청방법-사용방법

먼저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은 인터파크 티켓과 예스 24를 통해서만 신청할수있는데요~ 원하는 웹사이트에 회원가입 후 로그인과 본인인증을 완료한 후에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 문화예술위원회 청년문화예술패스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후 청년문화예술패스 대상자 확인을 위한 인증을 진행하고 패스 지급 여부까지 확인하면 돼요.

 

 

 

청년 문화예술패스 사용처

청년-문화-예술-패스-사용처-알아보기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을 완료하고 발급까지 받았다면 최대 15만원까지의 포인트를 뮤지컬, 클래식, 연극, 발레, 무용, 국악, 전시 등 다양한 예술행사에 즉시 사용할 수가 있는데요~ 문화예술패스 사용처는 공연마다 다르고 참여기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NS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한 사이트에서 공연. 전시 예매 시 사용할 수 있음)

 

  • 관람 가능한 장르 : 연극, 뮤지컬, 클래식, 오페라, 발레, 무용, 합창, 국악 등과 전시
  • 관람 비허용 장르 : 대중가요 콘서트, 토크 콘서트, 팬미팅, 페스티벌, 강연, 종교행사, 아동/가족, 행사/축제, 아동체험전 등 

 

 

 

청년-문화-예술-패스-지원대상-신청기간

지원대상은 앞서 말했듯이 전국의 2005년생 대한민국 국적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고, 지자체별 지방비 매칭 상황에 따라서 1인당 연 10만 원 ~ 15만 원 문화예술 관람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은 24년 11월 30일까지 가능하지만 선착순 16만 명이 채워지거나 지역별 예산이 소진될 시에는 마감될 수 있으니 빠르게 신청하세요.

 

 

 

인터파크 티켓에서 신청하고 발급받을시에는 친구에게 메신저, DM 등으로 보고 싶은 공연. 전시를 묻고 화면을 캡처하여 본인의 인스타그램 스토리나 피드에 올린 뒤 인스타그램 티켓 계정과 친구 계정을 태그 하면 인스탁스 미니 12, 아이리버 디즈니 미키 무선 이어폰, 올리브영 기프트카드 2만 원권 등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으니 이벤트 내용을 살펴본 뒤 참여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인터파크-티켓-인스타-바로가기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및 사용처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사실 요즘 뮤지컬 티켓 비용도 너무 비싸다 보니 뮤지컬을 보려고 해도 부담되는 것이 사실인데요~ 물론 10만 원 ~ 15만 원 지원을 해주는 게 적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이 또한 꽤 쏠쏠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금액임은 분명하니 성인이 된 19세라면 무조건 신청하여 혜택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전북 에듀페이 사용처 및 신청 등록 방법 (가맹점)

작년에 처음으로 시행하고 많은 호응을 받았던 전북 에듀페이가 올해도 어김없이 돌아왔습니다. 이번 전북 에듀페이는 지원금에 따라서 시청기간이 상이한데요~ 지금부터 20~30만 원 받을 수 있

hbag0115.tistory.com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및 판매처 조회하기

월 6만 원대 무제한 대중교통정기권 기후동행카드가 설 연휴가 끝난 후 첫 평일인 13일 약 25만 명이 이용했다고 합니다. 6월 말까지 시범사업기간인 기후동행카드는 시립미술관 등 문화시설과

hbag0115.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