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9세가 되는 2005년생 대한민국 청년들에게 공연과 전시를 예매할 때 최대 15만 원을 지원하는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발급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예신가요? 올해 처음 시행하는 데다 선착순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참고하셔서 지금 바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은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선착순으로 발급하기 때문에 빠르게 신청을하는것이 중요한데요~ 소득과 관계없이 국내에 거주하는 2005년생 대한민국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 지역별로 발급상황에 따라서 조기에 마감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글을 보고 있는 즉시 위의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하기로 들어가서 신청먼저 하고 오시기 바랍니다.
먼저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은 인터파크 티켓과 예스 24를 통해서만 신청할수있는데요~ 원하는 웹사이트에 회원가입 후 로그인과 본인인증을 완료한 후에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 문화예술위원회 청년문화예술패스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후 청년문화예술패스 대상자 확인을 위한 인증을 진행하고 패스 지급 여부까지 확인하면 돼요.
청년 문화예술패스 사용처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을 완료하고 발급까지 받았다면 최대 15만원까지의 포인트를 뮤지컬, 클래식, 연극, 발레, 무용, 국악, 전시 등 다양한 예술행사에 즉시 사용할 수가 있는데요~ 문화예술패스 사용처는 공연마다 다르고 참여기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NS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한 사이트에서 공연. 전시 예매 시 사용할 수 있음)
- 관람 가능한 장르 : 연극, 뮤지컬, 클래식, 오페라, 발레, 무용, 합창, 국악 등과 전시
- 관람 비허용 장르 : 대중가요 콘서트, 토크 콘서트, 팬미팅, 페스티벌, 강연, 종교행사, 아동/가족, 행사/축제, 아동체험전 등
지원대상은 앞서 말했듯이 전국의 2005년생 대한민국 국적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고, 지자체별 지방비 매칭 상황에 따라서 1인당 연 10만 원 ~ 15만 원 문화예술 관람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은 24년 11월 30일까지 가능하지만 선착순 16만 명이 채워지거나 지역별 예산이 소진될 시에는 마감될 수 있으니 빠르게 신청하세요.
인터파크 티켓에서 신청하고 발급받을시에는 친구에게 메신저, DM 등으로 보고 싶은 공연. 전시를 묻고 화면을 캡처하여 본인의 인스타그램 스토리나 피드에 올린 뒤 인스타그램 티켓 계정과 친구 계정을 태그 하면 인스탁스 미니 12, 아이리버 디즈니 미키 무선 이어폰, 올리브영 기프트카드 2만 원권 등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으니 이벤트 내용을 살펴본 뒤 참여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및 사용처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사실 요즘 뮤지컬 티켓 비용도 너무 비싸다 보니 뮤지컬을 보려고 해도 부담되는 것이 사실인데요~ 물론 10만 원 ~ 15만 원 지원을 해주는 게 적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이 또한 꽤 쏠쏠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금액임은 분명하니 성인이 된 19세라면 무조건 신청하여 혜택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전북 에듀페이 사용처 및 신청 등록 방법 (가맹점)
작년에 처음으로 시행하고 많은 호응을 받았던 전북 에듀페이가 올해도 어김없이 돌아왔습니다. 이번 전북 에듀페이는 지원금에 따라서 시청기간이 상이한데요~ 지금부터 20~30만 원 받을 수 있
hbag0115.tistory.com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및 판매처 조회하기
월 6만 원대 무제한 대중교통정기권 기후동행카드가 설 연휴가 끝난 후 첫 평일인 13일 약 25만 명이 이용했다고 합니다. 6월 말까지 시범사업기간인 기후동행카드는 시립미술관 등 문화시설과
hbag0115.tistory.com
'생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경기패스 신청 홈페이지 k패스 차이점 (0) | 2024.04.24 |
---|---|
k패스 카드 발급방법 누리집 홈페이지 (0) | 2024.04.24 |
사전투표 장소 찾기 방법 및 준비물 (0) | 2024.04.05 |
운전면허 필기시험 예상문제 기출문제 풀어보기 (0) | 2024.02.20 |
기후동행카드 사용방법 (모바일, 따릉이) (0) | 2024.02.17 |
댓글